주유소를 방문하면 쓰여 있는 글귀.
"주유 시 차량의 시동을 꺼주시고 주유 바랍니다."
하지만 왜 꺼야 하는지 설명은 나와있지 않아서 궁금한 적이 있었죠?
오늘은 주유할 때 시동을 왜 꺼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.
요즘처럼 셀프주유소가 많은 시대에 빠른 주유와 빠른 출발, 또는 다시 시동을 걸기 귀찮아하시는 분들은 주유 중 시동을 끄지 않은 상태로 주유하시는 걸 많이 목격했답니다. 주유 중 시동을 끄지 않아도 문제가 없다는 생각은 정말 잘못된 생각입니다.
1. 과태료 발생
주유 중 시동을 끄지 않으면 과태료가 있다는 사실. 다들 알고 계셨나요?
하지만 과태료는 운전자가 아닌 주유소에 부과되기 때문에 운전자들이 안일하게 생각하는 게 대부분입니다.
물론 모르는 사람들이 더욱 많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
'위험물 안전관리법 제5조 3항 -> 제조소등에서의 위험물의 저장 또는 취급에 관하여는 다음 각 호의 중요 기준 및 세부기준에 따라야 한다.'
로 명시되어 있으며 위반한 자에게는 1차, 2차, 3차 각 50만 원, 100만 원, 200만 원의 벌금이 부과됩니다.
쉽게 말해서 시동을 끄지 않은 상태로 적발되면 주유소에서 50만원, 100만원, 200만원의 과태료를 물 수 있습니다.
2. 혼유사고 방지
만약 시동을 켠 상태로 혼유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차량 연료계통 부퓸에 연료가 유입되어 연료탱크, 고압펌프, 인젝터 등 다양한 엔진부품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. 엔진부품의 자동차 부품 중 비싼 편인건 다들 알고 계시죠?
하지만 시동을 끄고 주유를 하게 된다면 연료탱크를 세척함으로 사고의 크기를 낮출 수 있답니다. 그러므로 꼭 시동을 끄고 주유하시는 걸 추천드려요.
3. 공회전 금지
자동차의 공회전이 환경오염을 준다는 건 상식 중에 상식이죠.
공회전은 배기가스가 배출되며 대기오염의 원인이 된답니다. 또한, 시동을 켠 채로 주유하는 건 엔진 수명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답니다.
4. 화재사고 방지
주유소는 화재에 가장 취약한 곳 중 하나랍니다. 사방이 기름으로 차 있는 곳으로 작은 스파크나 불꽃에도 대형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곳이랍니다. 주유소에 정전기 패드가 있는 것도 화재위험에 미리 대비한 것입니다.
주유 중 시동을 켜놓는 행위는 화재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지만 상당히 관련이 깊습니다.
주유할 때는 유증기라는 기름방울의 안개 형태로 변한 것을 말하는데 시동이 걸려있는 차의 엔진 스파크와 유증기가 만나면 큰 화재로 번질 수 있습니다.
건조한 겨울에는 그 확률이 더욱 올라가기 때문에 큰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.
오늘은 주유소에서 시동을 끄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.
주유소는 항상 화재에 대비해야 되는 곳입니다. 또한, 나 하나만 이라는 안일한 생각은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. 나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의 안전까지 신경 쓰는 멋진 사람이 되길 바랍니다. :)
'Ca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동차] 실내 디자인, 실내 튜닝 간단한 실내 꾸미기 목록 (2) | 2021.05.18 |
---|---|
[자동차] 코나 오르간 페달 설치 후 후기 (0) | 2021.05.12 |
[자동차] 비오는 날 / 장마철에 조심해야할 안전 수칙들 알려드려요. (0) | 2021.04.28 |
[자동차] 인터넷으로 자동차 보험 가입하기 / 싸게 가입하는 방법 (0) | 2021.04.26 |
[자동차] 자동차 경고등 종류 미리 알고 사고 예방해요 :) (0) | 2021.04.25 |
댓글